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이가 열이 날 때 대처방법

by |¦))®℗)⁽₽₯₮ 2022. 8. 2.

아이들은 단순 감기여도 고열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어린 나이에는 성인 남성보다 면역체계가 제대로 구성되어있지 않아 열이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떻게 대처해야 열을 내릴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열을 내리는 4가지 방법

열이 나는  난다는 건 우리 몸의 면역세포가 세균과 싸우고 있다는 겁니다. 몇 번 열이 나면 면역력이 올라 

 

1. 해열제 먹기

별다른 증상이 없더라도 39.5도가 넘으면 해열제를 먹여야 합니다  열성경련이 일어난 적이 있다면 미열 이어도 해열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미열은 37.5도 ~ 38도 사이를 말합니다.
  • 생후 4개월 미만의 아이가 38도 이상의 열이 난다면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 아이가 열이 40도 이상이라면 병원에 가셔야 합니다. 
  • 해열제는 체중마다 권장량이 명시되어 있으니 권장량을 지켜서 먹이시길 바랍니다.

 

2. 수건으로 몸 닦아주기

몸에 열이 많이 나는 겨드랑이, 목, 이마 부위를 중점적으로 미온수로 적신 수건을 이용해서 닦아주시길 바랍니다. 손과 발은 열이 오르기 전에 차갑기 때문에 양말을 신겨주면 체온이 올라갑니다. 몸을 닦을 때는 옷을 벗겨야 하기에 상황에 따라 환기를 시키거나 너무 덥다면 에어컨을 틀어주시면 됩니다. 

  • 몸을 닦아줘도 열이 안내린다면 병원에 바로 가셔야 합니다.
  • 목욕, 샤워는 열이 내리기 전까지는 자제해야 합니다. 체온 변화로 인해 열이 내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3. 충분한 휴식

열이 난다는 건 세균과 싸우고 있는 상황이기에 몸을 충분히 쉬어줘야 합니다. 계절별 실내 적정 온도, 습도를 지키면서 아이가 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세요 아이의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계절별 적정 습도, 온도

  • 봄과 가을은 적정 습도 50%, 온도 19  ~23도
  • 여름은 적정 습도 60%, 온도 23 ~ 27도
  • 겨울은 적정 습도 40%, 온도 18 ~ 21도
  • 오래된 가습기와 에어컨은 세균이 많아 아이의 건강을 해칠 수 있습니다.

 

 

 

4. 부드러운 음식 섭취 및 충분한 물 먹이기

아이는 열이 있으면 음식 섭취를 거부하게 됩니다. 씹기에 편하면서 소화가 잘 되는 부드러운 음식을 먹이고, 물을 충분히 먹여야 열이 내려갑니다.

  • 신생아의 경우에 거부감이 심할 수 있습니다. 물은 억지로 먹일 필요는 없지만 부드러운 음식은 조금씩은 먹여줘야 면역력이 올라갑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