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꿀팁

2021년 증여세율과 면제 한도 알아보자

by |¦))®℗)⁽₽₯₮ 2021. 4. 19.

증여세는 재산을 증여받았을 때 부담하는 세금으로 상속받은 날을 기준으로 3달 안에 신고 및 납부를 해야 합니다. 신고 및 납부를 위해서는 증여세율과 면제 한도에 대해 아셔야 하는데요. 이번 글에서 2021년 증여세율과 면제 한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1년 증여세 총정리

 

 

 

1. 증여세율

 

증여세율은 최저 10%부터 최고 50%까지 5단계로 나뉩니다. 만약 미성년자라면 20억 초과 증여세에 40%를 할증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직계비속인 경우에는 30% 할증받습니다.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
1억 이하 10% x
1억 초과~ 5억 이하 20% 천만원
5억 초과~ 10억 이하 30% 6천만원
10억 초과~ 30억 이하 40% 1억 6천만원
30억 초과 50% 4억 6천만원

과세표준 12억원이라면 [12억X0.4-1억 6천만 원]입니다. 12억은 계산하면 증여세가 3억 2천입니다. 자녀의 경우 8억 8천만 원을 순전히 가져갈 수 있습니다.

 

과세표준 5억이라면 [5억X0.2-천만원] 9천만 원을 증여세로 내야 합니다. 자녀의 경우 4억 천만 원이 남습니다.

 

 

 

2. 면제 한도

 

증여자와의 관계 증여재산공제 한도액 (10년 합산해서 공제가능한 금액)
배우자 6억원
직계존속 5천만원(아직 미성년자라면 2천)
직계비속 5천만원
6촌 이내의 혈족 및 4촌 이내의 인척 천만원
그 외인 경우 0원

 

증여재산공제는 10년이내에 공제받은 금액을 합쳐서 한도가 적용됩니다. 증여세는 위에 표와 같이 관계에 따라 증여재산공제 한도액이 나뉩니다.

 

3. 증여세 신고 및 납부

 

증여세는 수증자의 주소지 관할 세무서에 3개월 이내에 신고 및 납부해야 합니다. 수증자의 거주지가 불분명한 경우나 비거주자인 경우에는 증여자의 주소지 관할 세무서에서 신고 및 납부하시면 됩니다.

 

 

 

4. 증여세 절세하는 방법

 

이 부분이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증여금액은 10년을 기준으로 보기 때문에 만약 재산이 많다면 어렸을 때부터 자녀에게 보험을 많이 들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상으로 2021년 증여세율, 면제 한도, 신고 및 납부, 절세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외에 다른 자료들도 많으니 이 블로그에서 많이 찾아주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