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꿀팁

2021 연봉별 실수령액 알아보자

by |¦))®℗)⁽₽₯₮ 2021. 4. 25.

이번에는 직장인 분들과 사회 초년생분들이 가장 관심을 두고 있는 연봉 실수령액에 대한 내용입니다. 본인 연봉에서 실제로 본인이 가지고 가는 연봉은 얼마인지 많이들 궁금해하실 겁니다. 아래 글에서 2021년 연봉 실수령액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1년 연봉별 실수령액

 

국민연금 세율은 2021년로 동일하고, 2021년 7월을 기준으로 상한액과 하한액이 조정될 거라고 합니다.(486만 원→503만 원, 31만 원→32만 원) 

 

최고 보험료는 486X9%= 42만 1200원, 503X9%= 43만 7400원으로 상향 조정됩니다. 국민연금은 근로자 4.5%, 사업주 4.5%내니 해당 금액의 절반 가량 납부해야 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1. 연 1000만원~ 2900만 원

처음 1000만 원~12000만 원까지는 소득세와 지방소득세가 공제가 됩니다. 연봉이 1200만 원 초과가 될 때부터 소득세와 지방소득세가 세금으로 추가 납부됩니다.

 

1000만원에서-2900만원까지-실수령액
1000만원-2900만원-실수령액

 

2. 3000만원~4900만원

 

이 구간에도 세금은 크게 납부되지 않습니다. 3000만원 기준으로 2700만원 정도를 실수령하실 수 있으십니다.

 

3000만원에서-4900만원까지-실수령액
3000만원-4900만원-실수령액

 

3. 5000만원~6900만원

 

세율 측면에서 윗구간과 크게 차이는 없습니다. 6300만원이 초과되면서 소득세가 40만원을 넘게 됩니다.

 

5000만원에서-6900만원까지-실수령액
5000만원-6900만원-실수령액

 

4. 7000만원~8900만원

 

7000만원에서-8900만원까지-실수령액
7000만원-8900만원-실수령액

 

5. 9000만원~10900만원

 

9000만원에서-10900만원까지-실수령액
9000만원-1억9백만원-실수령액

 

 

6. 11000만원~12900만원

 

11000만원에서-12900만원까지-실수령액
11000만원-12900만원-실수령액

 

7. 13000만원~ 15000만원

 

 

13000만원에서-15000만원까지-실수령액
13000만원-15000만원-실수령액

 

 

이렇게 2021년 연봉 1000만원부터 1억 5천만원까지 실수령액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아래 부분에서는 실제로 계산되는 퍼센트와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내용입니다. 3천만원과 1억의 실제 납부 과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3천만원-실수령액-계산결과
3천만원-계산결과

 

연봉이 3000만원이라면 '매달 2,244,080원'을 실수령합니다. 위에 부양가족수와 20세 이하 자녀수를 늘릴 경우 근로소득세부분만 조금 줄어들 뿐이라서 실수령액은 별 차이없습니다. 

 

 

1억-실수령액-계산결과
1억-계산결과

꿈의 연봉 1억의 경우 매달 6,566,353원을 실수령합니다. 생각보다 금액이 크지 않습니다. 그래서 연봉 1억이라면 실제로는 연봉이 8천만원이 안됩니다.

 

  • 국민연금은 월급의 4.5%(나머지 4.5%는 사업주가 냅니다)
  • 건강보험은 월급의 3.43%
  • 장기요양은 건강보험료의 11.52%
  • 고용보험은 월급의 0.8%
  • 근로소득세와 지방소득세는 부양가족과 자녀에 따라 조금 차이가 납니다.

위 자료가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이상입니다.

 

 

 

 

댓글